비주택용지 용도 변환 예정 지구. 사진=국토교통부
내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총 2만9000가구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이 공급된다. 서울 1300호, 인천 3600호, 경기 2만3800호로, 판교 신도시에 맞먹는 규모다.
국토교통부는 2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인천도시공사(iH)가 내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총 2만9000호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새 정부 주택공급 확대방안에서 제시한 물량보다 2000호 많은 수준으로, 사실상 판교급 신도시를 새로 조성하는 규모다.
이번 공급 물량은 4개 공공기관의 올해 분양 물량(2만2000호)보다 32.2% 늘었으며, 최근 5년간 수도권 연평균 분양 물량(1만2000호)의 2.3배에 달한다. 국토부는 이를 공공부문의 착공 확대 노력의 가시적 성과로 보고 공급 확대 국면으로의 전환이 본격화됐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1300호, 인천 3600호, 경기 2만3800호가 예정돼 있다. 주요 지구별로 보면 3기 신도시 7500호, 2기 신도시 7900호, 기타 중소택지 1만3200호다.
3기 신도시에서는 고양창릉 3881호, 남양주왕숙 1868호, 인천계양 1290호가 공급되고, 2기 신도시에서는 광교 600호, 평택고덕 5134호, 화성동탄2 473호가 분양될 예정이다. 이외 중소택지에서는 고덕강일 1305호, 구리갈매역세권 287호, 검암역세권 1190호 등 총 1만3200호가 공급된다.
국토부는 내년 분양 단지 상당수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광역도로망 등 교통 인프라 접근성이 뛰어나고, 직주근접이 가능한 입지에 위치해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올해 안에도 남양주왕숙 881호, 군포대야미 1003호 등을 포함해 모두 5100호를 추가 공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