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교육부
정부가 2학기 유치원·학교의 전면등교를 실시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되는 지역에 대해 전면 원격 수업이 아닌 부분 등교가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시도교육감과 2학기 학사운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비대면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현행 거리두기 단계별 등교 방식을 조정해 등교를 확대해 나가겠다는 복안으로 해석된다.
유 부총리는 “개학이 몰려있는 8월 3~4주에도 여전히 4단계가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며 “지난 6월 발표한 거리두기 단계별 등교 기준에 따른다면 4단계 적용 지역은 2학기에도 등교수업이 아닌 원격수업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방역 전문가들과 방역당국도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 등 등교수업 요구가 큰 학년을 포함해 일부 등교확대가 필요하고 가능하다는 의견을 줬다”며 “다양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등교 확대를 위한 세부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교육부가 지난 6월 2일 발표한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학교 밀집도 기준에 따르면 2단계(전국 확진자 500명 이상)까지 전면등교가 가능하다. 3단계에서는 초등학교 3~6학년은 4분의 3, 중·고교는 3분의 2까지 등교할 수 있고, 4단계는 전면 원격수업 전환이다.
그러나 교육부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 속에서도 2학기 등교 확대에 힘을 싣고 있다. 이는 원격수업 장기화에 따른 학생들의 정서·심리적 결손과 학력격차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유 총리 역시 원격수업보다는 등교수업을 통해 면대면 지도를 통한 학습 결손 회복, 교사·친구들과의 관계를 통한 사회성 함양 등이 더 빠르게 이러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현장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달 둘째 주에 2학기 학사운영 일정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