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인플루엔자 유행이 예년보다 이른 시기에 시작되며 환자 증가세가 뚜렷하다.
19일 질병관리청 등에 따르면, 45주차 의원급 표본감시에서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50.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주 22.8명 대비 2배가 넘는 수준이며, 최근 10년간 해당 기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7일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교육부 등 관계기관과 합동대책반 회의를 열고 인플루엔자·호흡기감염병 발생 현황과 대응 방향을 점검했다.
연령별 환자 발생은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중이나, 특히 7~12세(138.1명), 1~6세(82.1명), 13~18세(75.6명) 순으로 소아·청소년층에서 높은 분율을 보였다. 7~12세는 지난 절기 정점 수준에 근접해 학령기 전파가 유행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45주차 호흡기 검체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은 35.1%로 전주 대비 16.1%포인트 상승했다. 현재 유행 중인 바이러스는 A형(H3N2)이며, 일부 변이가 확인됐으나 백신 효과는 유지되고 치료제 내성 변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일본,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 인플루엔자 활동이 평년 대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역시 유행 기간이 길어지고, 지난해와 유사한 대규모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동절기 인플루엔자 유행 대응을 위해 합동대책반을 운영하며, 감염취약시설 모니터링, 백신 접종 독려, 예방수칙 홍보, 의약품 수급 점검 등 각 부처별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교육부는 유치원·학교 대상 관리지침을 배포하고 감염병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