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전경.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0일 오전 서울 양재동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산업·통상·자원 분야 20개 공공기관장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장 회의’를 주재했다. 이번 회의는 정부조직 개편 이후 처음 열린 것으로, 새 정부의 국정철학에 부합하는 공공기관의 역할을 정립하고 보안·안전·위해 방지 등 대국민 서비스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장관은 “새 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에너지 기능 분리 등 조직 개편을 마치고 123개 국정과제가 확정됐다”며 “이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과 정부가 하나된 ‘원팀’으로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기관장들에게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깊이 이해하고 이에 부합하는 기관 운영 방안을 마련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김 장관은 산업부가 담당하는 5대 국정과제인 ▲제조업 AX(첨단 전환) 등 신성장동력 창출 ▲경제안보 및 통상역량 강화 ▲지역균형 성장 추진 등 핵심 과제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조직 정비와 역량 집중을 주문했다. 또한 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시스템 사고 등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대국민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하며, 보안·안전·위해 방지 매뉴얼의 운영 실태 점검과 사이버 보안 강화를 지시했다.

시설물 안전점검과 중대재해 예방 등 사전예방 체계 확립도 주요 당부 사항으로 꼽혔다. 김 장관은 “안전 문제에 대해서는 원점에서부터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며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공기관의 투명하고 책임 있는 업무 수행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모든 업무에서 투명성과 책임감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업무시스템과 제도를 개선해 부적정 업무 처리를 사전에 막고, 비위행위자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철저히 적용하라”고 지시했다.

산업부와 산하 공공기관들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국민과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대내외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역량을 결집하기로 했다. 또한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유기적 협업체계를 구축해 정부-공공기관 간 소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